우리 누나가 해외봉사단으로 아프리카 잠비아에서 활동하던 때의 이야기인데-

유엔이나 NGO에서 한 번 구호물자를 보내면 우선 그 나라 사람들은 아예 토지를 경작하던 것을 멈춰버린다.
당연히 기근이 발생한다. 그리고 구호물자를 보내준 유엔이나 NGO에 구호물자를 요구하는 악순환이 벌어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그 지역 종교단체의 실력자가 끼어들기도 한다.

물자가 온다 -> 일하지 않는다 -> 기근이 일어난다 -> 양파머리를 한 할멈이 온다.

누나는 간호사였다. 나일강 상류 부근에는 100명 중 1명 꼴로 에이즈 환자가 있었는데, 빈곤도 기근도 심해서
매일같이 사람이 죽어나가는 모양. 그런데도 그 지역 사람들은 전혀 슬퍼하지 않는다. 30살 정도 살면 충분히
살만큼 살았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50살 정도 살면 마을의 장로가 되며 70살을 살면 농담 섞어 아예 신과 동격이
될 수도 있을 정도. 그런 아프리카에 계속 구호물자가 도착하고 의약품과 의사, 기술자도 파견되지만 현지인들은
전혀 일하지 않는다.

거기에다 의약품과 의술의 지원으로 유아 사망확률이 줄어들면 당연히 식료품이 부족해진다. 그래서 또 구호
물자를 요구한다! 우리들의 어설픈 자선심으로 아프리카가 정말로 괴멸하는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

누나는 말한다...
식료품을 보낼 바에는 차라리 그 씨앗을 보내라고. 그리고 제일 필요한 것은 구호물자가 아니라 나라를 다시
일으켜 세울 유능한 정치가라고...

트랙백 주소 :: http://newkoman.mireene.com/tt/trackback/1045

댓글을 달아 주세요

  1. Dakku 2007/07/03 21:41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처음으로 1등 ;ㅂ;

    근데 내용이 좀 비약이 아닐런지...

  2. 보논ㅇㅅㅇ 2007/07/03 21:49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음... 좀 진지한 스토리군요.

  3. 지나가던과객 2007/07/03 22:34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일단 맨 처음 원조물자가 가게 된 경위를 설명하지 않았네요.
    그리고, 유능한 정치가는 일단 먹는 문제가 해결되고 사람들이 교육을 받기 시작하면서 질높은 삶을 원하기 시작할 때 나오는 것입니다.

    밥 주니까 애가 일을 안한다고 해서, 또다시 굶주리도록 내버려둘 순 없는 노릇이죠.

  4. 개멍 2007/07/03 22:49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다들 일리가 있는 말씀입니다만, 실제 현실이 저렇다고 합니다. 하루 한 사람이 50센트를 벌어 사는 경제에 WHO 권장 열량의 식량을 퍼부어 제끼면 당연히 경제의 왜곡이 일어나고, 부패 정치인이 군침을 흘리게 마련이죠.
    성공한 원조 프로그램의 수는 극히 드물고, 그 중 하나가 얼마 전에 노벨 평화상을 받은 사람이었다고 합니다. 이 사람은 주민의 사업에 10 달러 정도를 지원하여 성공시켰죠.

  5. k` 2007/07/03 23:07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 검색을 하시면 되잖습니까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ctg=1300&Total_ID=2475124

    개인적으로 약간 관심이 있어서 하는 이야기입다만.. 반 정도는 맞고 반 정도는 사실과 다릅니다. 대부분 저 동네 빈국의 국민들은 정신적 공황이라고 해야 할까요. 정치가, 군인의 만성적인 부패와 전횡에 시달리면서 열심히 일해봤자 소용이 없다는 가치관에 빠진 것에 불과합니다. 일단 식량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면 언제 내전이 일어나 잿더미가 될지, 강제에 가까운 수탈을 당할지도 모르는데 경작을 포기하는건 ... 뭐 그 사람들 나름의 결론이겠죠.

    물론 기아에 시달리는 사람들의 현실과는 별개로 생각해야 할 문제겠습니다만...
    기아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식량이 아니라 교육일 겁니다.

  6. 흠... 2007/07/04 09:56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와이프가 전에 네팔에 갔다왔는데, 네팔 사람들은 경작기술에 관심이 많은가보더군요. 그 곳 NGO 단체의 현지인이 얼마전 한국에 왔다가(한국지부의 연수, 상당부분의 경비는 KBS에서 부담) 와이프를 만나서 한국의 농업 발달 수준을 보고 놀랐다면서, 한국이 정작 관심을 가져주어야 하는 부분에는 무관심하다며 안타까움을 표했다고 합니다. NGO단체에서 농경기술을 전파시켜주어야한다는 생각 자체를 못하고 있나봅니다. 와이프도 그 단체의 간사급이 아니라 일개 봉사원이기 때문에 건의하는 선에 그쳤다는데, 과연 농경기술전파를 위해 파견내보낼 농경기술자가 얼마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아무래도 먼저 농업토목 하는 사람들을 먼저 보내서 저수시설부터 만들어줘야될거같은데...

    • 실은... 2009/12/15 00:29  댓글주소  수정/삭제

      2년이나 지나서 좀 뻘쭘하기는 하지만 마지레스 달아 봅니다....


      그같은 생각을 하고 실제로 지원하고 있는 NGO도 있습니다. 덧글 다신 2007년 훨씬 전부터 시도되고 있었고요. 예를 들면 기후 등을 고려해 해당 지역에 재배가능한 작물에는 무엇이 있는지 몇년째 연구한다든지요. 또 지역에 따라서는 먹는 음식도 다르기 때문에-예를 들어, 몽골같은 곳에서는 채소/야채가 식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극히 적습니다- 건강한 생활을 위한 식습관이라든지도 홍보하고 있더군요.

  7. 꿀꿀이 2007/07/04 12:59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누나 멋지다!

  8. 마유라 2007/07/04 22:32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4천만의 한국인도 일반화 시킬 수 없는 노릇인데
    그의 몇배나 되는 아프리카 사람들의 민족성을 일반화시켜서 이야기하는 것은 좀 그렇죠...
    TV 다큐멘터리를 봐도, 오지에서 열심히 사냥하고 나름대로 삶의 목표를 갖고 살아가는데....
    어찌되었든 해외 봉사를 하는 것만으로도 멋진 일입니다.

  9. 크랏세 2007/07/04 23:54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 먹이느니 먹는법을 가르치겠다는건가요... 확실히 맞는 방법입니다.
    물고기를 잡아주는 발상은 이미 20세기에 끝났어야했죠. 이젠 잡는법을 가르쳐줘야할때입니다.

  10. 슬푸 2007/07/05 16:44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매년 홍수가 발생, 국토가 물에 잠기는 방글라데시 같은 나라에 UN이 돈을 거둬 수리 시절을 해주면 되는 것 아닌가 생각한 적이 있었습니다.
    잘 아시는 분 얘기가 그렇게 안 된다네요...
    그 나라 국가 예산의 절반이 외국이 보내주는 수해 원조금이라 그 돈줄을 안 놓는답니다. 다음해 예산에 미리 잡아놓는다는군요. 그분 말이 그 나라는 영원히 그러고 살 거라고...

  11. 김아무개 2008/04/12 21:38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NGO와는 좀 다르겠지만 GO의 입장에서 보자면 궁극적으로 해외봉사를 하는 이유는 세계정치적 목적이 강하지요. OECD에 가입을 유지한다든가, ISO에 패널을 한 사람 보낸다든가 할 때 마다 "개발도상국무상원조 1억달러" 같은 조건이 붙기 때문에 그 금액을 사용하기 위해 봉사단이 가고 원조물품이 가는 것이라 할 수 있지요. 궁극적으로는 세계랭킹을 위해서 그 국가에 실제로 도움이 되지는 않지만(기술이전같은 것은 해주지 않지요) 다시 팔아서 돈으로 쓰지는 못하는 물자를 줘서 할당된 원조액을 채우는 것이 주는 국가 입장에선 가장 좋은 방법이지요.

  12. 샤라포바 2009/10/16 16:51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그런데도 그 지역 사람들은 전혀 슬퍼하지 않는다. 30살 정도 살면 충분히
    살만큼 살았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50살 정도 살면 마을의 장로가 되며 70살을 살면 농담 섞어 아예 신과 동격이
    될 수도 있을 정도. <- 엄청난 비약이네요 초딩도 w같은 다큐 프로그램 한번이라도 보면 이딴 말 안하죠. 아프리카인들이 무슨 크로마뇽인입니까? 블러드 다이아몬드같은 일화만 봐도 알 수 있죠.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은 어디보다 높지만 군벌세력과 인종갈등, 독재의 문제는 모든걸 무력화시킵니다. 아프리카에 필요한건 무언가를 '가르치는'게 아니라 스스로 나라를 민주화시키도록 길을 마련하는 것과 그 사이 어쩔 수 없이 굶어죽는 난민들에게 최대한의 원조를 하는 것.

  13. 작은앙마 2009/10/16 17:15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그냥 잡설인데..

    저도 어서 들은것 뿐이고..


    원조물자를 빼돌리는데에서 꽤나 큰 이득이 발생하고.
    나라꼴이 심하면 심할수록 원조물자 받기 유리해지기 때문에...
    나라를 발전시킬 생각 따윈 안하는 경우도 많단 얘길 들었습니다..

    • 유우카 2010/05/11 03:35  댓글주소  수정/삭제

      1년 뒤의 댓글이라서 뻘쭘하지만 ㄷㄷ
      우연히 현재 국제 분쟁지역 기자분과 주마다 만남이 있는데
      그분 말씀을 듣다보면 정말 심각합니다.

      구호물자를 빼돌려서 국가예산을 채우는것은 물론이고
      아프리카의 분쟁지역에서는 독재자나 반군들이
      당연하다는 듯이 가로채서
      무기로 바꿔서 끝없는 전쟁이 벌어지더라구요...;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