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보라도 알 수 있게 오디오의 기본을 써 둔다.
· 오디오는 우선 스피커다. 스피커로 소리가 결정된다.
· 또한 그 스피커의 성능을 살리는 것은 앰프로 결정된다.
· 달리 말하자면 돈 이야기다. 40만엔짜리 스피커를 10만엔짜리 앰프로 100%구동시키는 것은 어렵다
(→상태A)
· 반대로 10만엔짜리 스피커를 40만엔짜리 앰프로 작동시키면, 스피커의 성능 자체는 100%발휘할 수
있다. (상태B)
· 하지만 상태B가 상태A보다 소리가 좋다고는 할 수 없다.
· 오디오 오타쿠는 상태A를 싫어한다. (SP의 성능을 발휘하지 없기 때문에 싫어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는「좋은 소리」는 2종류의 타입이 있다.
· 원음에 한없이 충실하게 가까운 것
· 인간의 귀에 듣기 좋게 들리는 것
이것을 혼동하면 안된다.
사실 전자의 경우라면 스피커로 몇 만엔짜리, 헤드폰이라면 1만엔대 후반이면 거의 충분하다.
한 개에 수십만엔 이상의 고가 레벨은 거의 틀림없이 후자.
음악 제작자는 후자의 스피커로 듣는 것을 전제로 만들지 않는다.
전자의 스피커로 조정하면서, 대다수의「미묘」한 환경에서 잘 들리는 것을 전제로 만든다.
· 오디오는 우선 스피커다. 스피커로 소리가 결정된다.
· 또한 그 스피커의 성능을 살리는 것은 앰프로 결정된다.
· 달리 말하자면 돈 이야기다. 40만엔짜리 스피커를 10만엔짜리 앰프로 100%구동시키는 것은 어렵다
(→상태A)
· 반대로 10만엔짜리 스피커를 40만엔짜리 앰프로 작동시키면, 스피커의 성능 자체는 100%발휘할 수
있다. (상태B)
· 하지만 상태B가 상태A보다 소리가 좋다고는 할 수 없다.
· 오디오 오타쿠는 상태A를 싫어한다. (SP의 성능을 발휘하지 없기 때문에 싫어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는「좋은 소리」는 2종류의 타입이 있다.
· 원음에 한없이 충실하게 가까운 것
· 인간의 귀에 듣기 좋게 들리는 것
이것을 혼동하면 안된다.
사실 전자의 경우라면 스피커로 몇 만엔짜리, 헤드폰이라면 1만엔대 후반이면 거의 충분하다.
한 개에 수십만엔 이상의 고가 레벨은 거의 틀림없이 후자.
음악 제작자는 후자의 스피커로 듣는 것을 전제로 만들지 않는다.
전자의 스피커로 조정하면서, 대다수의「미묘」한 환경에서 잘 들리는 것을 전제로 만든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흠 과연.....뭔 말인지 하나도 모르겠군요
오오. 그렇구나.
"발휘하지 없기 때문에"
마지레스하자면 원음에 충실한 정직한 소리는 싸구려 스피커로 절대 안 됩니다...
비싸다고 해도 잘 안 되죠. 모든 스피커는 각자 특성이 있고 그에 따라 왜곡돼 들리는데
스튜디오에서 쓰는 건 그나마 최대한 정직한 소리를 내는 비싼 스피커들이고요.
싼 스피커는 중음대가 비고 저음과 고음이 강하죠. 사람들이 흔히 좋아하는 세팅이 그러니까요.
그건 일반적인 하이파이 스피커들도 상당수가 그렇고요.
좋은 하이파이 스피커라면 중음대도 잘 들리고, 소리의 질이 얼마나 좋으냐, 해상도가 어떠냐
등이 달라진다고 생각합니다. 감상용 스피커는 싸든 비싸든 "원음에 충실"하지 않아요. ㅎ
이쯤해서 써보는 고음질 오디오 구현을 위한 필수목록
- 디지털 오디오 파일은 무조건 WAV를 써야 함
- 특히 WAV파일은 여러 번 복사하면 음질이 열화되므로 주의
- 시스템을 위한 전력의 발전소는 반드시 수력 발전소를 이용할 것
- 만일 건전지를 써야 한다면 국산보다는 외제, 충전지보단 1회용
아 ㅋㅋㅋㅋ 오랜만에 보는 신의 귀 드립 ㅋㅋㅋㅋㅋㅋㅋ
그 전설의 건전지에 의한 음향 차이..입니까.
당연히 발전소 옆에 살아야죠.
너무 멀면 이동중의 저항 때문에 열화되거든요.
빨리 이놈의 나라 전봇대 전선을 전부 백금으로 바꿔야지 원..
사실 저항값은 은이 금이나 백금보다 우수합니다만
은과 금, 백금은 소리에 미묘한 차이가 있죠
은은 너무 싸서 그런지 모르지만 좋지 않아뇨
저는 순수 무산소 백금 전력선을 가장 높게 칩니다
위의 분은 식견이 높으시군요
백금이라뇨.
액채질소를 무한으로 투입해서 초전도체전선을 동원해야 합니다.
일단 귀가 별로라 아무거나 들어도돼...
동감입니다.
뭐가 좀 잘못된거같네요
위에서 써있는
"사실 전자의 경우라면 스피커로 몇 만엔짜리, 헤드폰이라면 1만엔대 후반이면 거의 충분하다."
라는 부분이 정말 약 2,3만원대의 저가형 리시버를 말하는거라면
절대 그렇지않습니다
아무리 재생되는파일이 손실이없는 상태일지라도
헤드폰이나 이어폰 스피커(통칭 리시버라고합니다)가 저가형일경우에는
라인을 따라서 오는 과정에서도 손실이있을수있고
헤드폰에서 출력될때와 우퍼를통해 울릴때, 그리고 귀로전달될때까지의 환경(헤드폰이나 이어폰의 디자인 등..)때문에 엄청난 손실이 있습니다.
원음에 충실한게 2,3만원으로 해결된다면 전문 음향,녹음스튜디오에서
몇백에서 몇천만원을 호가하는 리시버를 사용하는 이유가없죠.
제가 "원음에 충실하다" 라는 부분을 잘못이해한건가요?
마지레스라기엔 좀 애매하지만....
헤드폰 기준으로 1만엔대 후반이면 한국돈으론 20만원대 중반. 이 정도면 유명 메이커의 모니터링 헤드셋 정도는 삽니다.
스피커라고 해도 탄노이 모니터링 같은거라면 몇만엔 선에서 해결 가능합니다만.
오히려 그보다... 궁극의 투자라고 할 수 있는 '음향효과가 고려된 방' 이 등장하면 그때는 스피커따위 문제가 아닌 수준의 비용이 들겠지요.
흠../ 아니아니, 몇만 '엔'입니다. 결코 싸구려가 아니에요.
아 그렇군요..제가 뭔가 햇갈렸던거같습니다..
어쨌든 제생각에는 위의 설명이 좀 바뀐거같네요..
인간의 귀에 듣기좋게..사람의 귀에 편하게 들리게 해주는게 오히려 더 쉽다는 의견입니다
원음에 충실한게 더 어려운기술과 고가죠.. 오히려 글쓰고있는 사람이 혼동한거같은데..
일단 엔이랑 원을 잘못 이해하신듯....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원음이라는 게 도대체 뭔지 모르겠네요 ㄷ
실제 오케스트라로 듣는 것과 스피커로 듣는 게 거의 비슷하게 들린다는 얘기인가요?
재생되는 오디오를 말하는거죠..
그 오디오가 가지고있는 데이터 전부를 손실없이 출력해내는걸 원음에 충실하다 라고 쓴겁니다..
소리는 모르겠고 LCD에는 '색상 재현율'이라는 개념이 있던데
그것이 실은 그래프에 대비한 수치를 표현하기때문에
황당하게도 100%를 넘어서기까지하고 그럴수록 형광빛이 난다고.
실제 인쇄작업에 있어선 70%대의 재현율이 그 중 가까운 편.
란 이야기랑 '원음 충실'하고 비슷한 소리 같네요.
그건 캘리브레이션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나름 차이가 크죠. 무조건 색재현율이 어떻고, 명암비가 어떻고 하기 전에 캘리 했냐 안했냐에서 차이가 심하게 납니다.
아 여기 혹시 도움을 주실 만한 지식을 가진 분이 계시려나;
블루투스 소니 drbt160as 구매하려고 하는데
혹시 사용해보신 분 있으신가요?
착용+음질 확인해봐서 착용감, 음질은 기꺼운데
끊김 부분이 어떨지 우려가 됩니다...
스팩상 연속기동 9시간이라는데 거진 12시간 정도 움직여주고 해서
BR-BT140Q 아주 잘 쓰고 있습니다. […]
일단 이 쪽의 얘기들은 무선은 배제 되고 시작합니다.
그게 블루투스건 블루투스 할아버지건
코끼리엘리사님 감사합니다.
dibdiv님 말은 제가 확실히 이해를 못했습니다;
뭐 막귀인지라 애초에 거동이 편한 블루투스를 쓸 생각을 하는 거긴 한데 ㅎㅎ
이건 다른 얘기인데, 방문이 닫혀 있고 tv 소리가 안 들려도 tv가 켜져있는 걸 알거나 소리 없이 tv를 끄고 켜는 걸 알 수 있는 건 대체 무엇 때문일까요?!;;
dibdiv님의 말씀은 지금 이 스레에 주제와 댓글에서는
무선기기는 모두 배제하고 이야기한다는겁니다
무선기기에서 좋은음향을 기대하질않기때문이죠
뭐..막귀시고 음질에 그렇게 크게 연연하지않으신다면
무선을 사용하셔도 상관없습니다만..
각오는하셔야할겁니다 솔직히 일반인의 귀로도 블루투스는 음질이 확 나빠진것을 느낄수있거든요
TV이야기는 조금 다릅니다. 소리의 문제가 아니라
전자파의 문제라고 알고있습니다만..이건 저도 잘 모르겠네요